- 선형화와 근사식
x가 a에 가까이 있을 때 곡선 y = f(x)에 대한 근사식으로 점(a, f(a))에서의 f의 접선을 이용하여 선형 근사식을 구한다.

즉 L(x) = f'(a)(x-a) + f(a)가 a에서 f의 선형 근사식이 된다.
어떤 a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한지는 예제를 통해 설명하겠다.
예제 1.
선형 근사식을 이용하여 y=e0.1의 근삿값을 구하시오
풀이 1.
우선 선형 근사식을 세우기 위해서 y=e0.1의 원래 함수가 y=ex임을 생각해야 한다.
(a,f(a))에서의 선형 근사식을 세우면
L(x)=ea(x−a)+ea이다. 이때 ea의 값을 우리가 알고 있는 값으로 설정해야 선형 근사식을 완성할 수 있다.
따라서 a=0을 이용하면 L(x)=x+1이다.
이제 L(x) 함수에 0.1을 넣어 근삿값을 구해주면 된다.
정답 : 1.1
'CALCULUS 핵심미분적분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ALCULUS 핵심 미적분학 (제 9판) |4 - 1 - (1) 최댓값과 최솟값 (1) | 2024.10.13 |
---|---|
CALCULUS 핵심 미적분학 (제 9판) | 3 - 5 쌍곡선함수 (1) | 2024.10.11 |
CALCULUS 핵심 미적분학 (제 9판) | 로그함수와 역삼각함수의 도함수 (1) | 2024.10.10 |
CALCULUS 핵심 미적분학 (제 9판) | 3 - 2 음함수 미분법 (1) | 2024.10.10 |
CALCULUS 핵심 미적분학 (제 9판) | 3 - 1-(2)곱 법칙과 몫 법칙, 삼각함수의 도함수, 연쇄법칙 (2) | 2024.10.08 |